네이버 구글 웹마스터도구에서 사이트맵 제출하는 방법
다음은 앞서 포스팅한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와 구글 웹마스터도구에 이어서 계속되는 포스팅으로, 등록한 사이트의 웹마스터도구에서 사이트맵을 제출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의 내용을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제가 이용하고 있는 블로그가 티스토리 블로그이기 때문에 해당 내용은 티스토리에 맞는 공략법으로 서술되어 있습니다. 제일 먼저 첫 번째 XML Sitemap Generator 사이트로 들어가줍시다. 사이트맵을 제출하기에 앞서 일단 본인 블로그의 사이트맵을 만들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사이트맵을 만들어 줄 사이트로 들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이트맵을 작성해주는 사이트는 이곳 저곳 많이 존재하는데, 저는 그 중에서도 다음 링크의 사이트를 권장하고자 합니다. 바로 www.web-site-map.com/index.php 이곳입니다. 왜냐하면 이 곳이 다른 사이트보다 페이지 수 제한이 널널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곳은 500페이지밖에 못 만드는 곳도 있는데, 해당 사이트는 4000 페이지까지나 되는 XML을 생성해낼 수 있습니다. 본인 블로그의 페이지 양이 많으신 분들은 필수로 이곳에서 사이트맵을 만들도록 합시다. 링크를 클릭하여 들어가게 되면 아래의 첫번째 사진과 같은 화면이 나올 것입니다. 두 번째 사이트맵을 만들어봅시다. 이제부터 본인 블로그의 사이트맵을 본격적으로 만들어보도록 합시다. 먼저 XML 만들기 사이트의 첫 화면을 보면 오른쪽 상단에 Create /retrieve XML Sitemap이라고 적혀 있는 하얀색 큰 글씨가 보일 것이고, 그 밑에 주소를 입력할 수 있는 공간이 남겨져 있을 것입니다. 우리는 이곳에 본인 블로그 주소를 입력하도록 합니다. 이미 http://를 사이트에서 적어놓았기 때문에 http://를 제외한 본인의 블로그 주소만 입력하면 됩니다. 예시는 티스토리 블로그 기준 다음과 같습니다. 바로 본인 블로그 주소.tistory.com 입니다. 입력이 끝났다면 재검토 후 그 밑에 있는 Get free XML Site map이라고 된 주황색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버튼을 누르고 다음 화면으로 넘긴다면, 위 사진의 두번째 사진과 같은 화면이 나타날 것입니다. 어느 곳에 어떤 것을 체크해야 할 지는 위 사진에 빨간색으로 순서를 매겨 표시해두었으므로 그대로 따라주시길 바랍니다. 이렇게 모든 순서를 따라 체크를 하고 세큐리티 코드까지 까먹지 않고 입력한 뒤 맨 밑 주황색 버튼을 누르게 되면, 주황색 버튼 밑으로 하늘색의 Status라는 글자가 뜨면서 사이트를 만들기 시작할 것입니다. 의외로 꽤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므로 잠깐 딴 짓이나 하며 기다리도록 합시다. 블로그 포스팅 수가 많을수록 시간은 더욱 많이 걸리게 될 것입니다. 이렇게 기다리다 모든 과정이 완료되었다고 뜨게 되면 사이트맵을 다운로드 해주시면 됩니다. 세 번째 본인의 블로그에 다운 받은 사이트맵을 파일 업로드합시다. 다음 단계입니다. 이제 XML 사이트는 필요 없으므로 창을 닫아주시고 본인의 블로그로 넘어와줍시다. 이제부터는 아까 다운로드했던 사이트맵 파일을 본인 블로그에 첨부하여 업로드해야 합니다. 글쓰기 창으로 가서 [파일]로 들어가, 다운받았던 사이트맵을 선택하여 해당 글에 첨부하도록 합시다. 사이트맵의 형태는 sitmap.xml일 것입니다. 파일을 첨부한 것이 확인되었다면 기본설정은 비공개로 돌린 다음 [발행]을 눌러 글을 올려주시면 됩니다. 다음으로, 비공개 상태로 올려진 해당 글로 들어갑시다. 그러면 첨부된 사이트맵 파일이 해당 글에 있을텐데 그 파일을 오른쪽 마우스로 클릭하고 그 나오는 목록들 중 '링크 주소를 복사'라는 목록을 선택, 파일의 링크 주소를 복사하여 줍니다.
네 번째 먼저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에 사이트맵을 제출하도록 합시다. 이제는 네이버와 구글 웹마스터도구에 사이트맵을 제출할 차례입니다. 먼저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에부터 사이트맵을 제출해보도록 합시다. 네이버 웹마스터도구로 들어가, 웹마스터도구 왼쪽에 메뉴들 중 요청의 사이트맵 제출 목록으로 들어주도록 합니다. 이 목록으로 들어가게 되면 사이트맵 제출이라고 된 큰 글씨가 있고 그 밑으로 본인 블로그 주소가 적혀져 있으며 그 옆에는 길게 빈 칸이 있을 것입니다. 우리는 이 빈 칸에 아까 복사했던 링크 주소의 일부를 붙여넣기를 해 주시면 됩니다. 아까 복사했던 링크 주소의 예시가 다음과 같은데 http://본인 블로그 주소.tistory.com/attachment/oooooooo.xml 입니다. 여기서 attachment로 시작되는 부분의 주소만 남기고 나머지 윗부분은 싹 지워주시면 되는 것입니다. 해당 빈 칸에 넣어야 할 정확한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바로 attachment/oooooooo.xml 입니다. 완벽하게 모든 입력이 끝났다면 옆의 확인 버튼을 눌러 제출시키면 됩니다. 이렇게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의 사이트맵 제출은 끝이 났습니다. 사이트맵이 제대로 제출되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면, 현황의 사이트 최적화의 사이트 최적화 현황표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표의 목록들 중 사이트맵이 있을 것이고 사이트맵 목록 옆에 초록색 마크 표시가 되어 있다면 완벽히 제출이 끝난 것입니다. 여섯 번째 구글 웹마스터도구에도 사이트맵을 제출하도록 합시다. 네이버에 사이트맵 제출을 했으니, 이제 남은 건 구글 웹마스터도구에 사이트 제출을 하는 일만 남았습니다. 네이버와 마찬가지로 attachment로 시작되는 링크 주소를 복사하여 구글 웹마스터도구 사이트, 구글 서치 콘솔로 접속해주도록 합시다. 주소를 붙여넣을 장소는 바로 크롤링으로, 해당 페이지로 들어가 맨 오른쪽에 위치한 SITEMAP 추가/테스트라는 빨간색 버튼을 누르도록 합시다. 그러면 본인 블로그 주소와 함께 그 옆으로 작은 빈 칸이 나열되어 있는 작은 창이 열리게 될 것입니다. 우리는 이 작은 빈 칸에 복사했던 attachment로 시작되는 링크 주소를 붙여넣기 해주면 됩니다. 붙여넣기를 완료했다면 오른쪽 확인 버튼을 눌러 제출을 완료시킵니다. 이렇게 구글 웹마스터도구의 사이트맵 제출도 끝이 난 것입니다. 사이트맵을 제대로 제출했는지, 구글 사이트맵 제출에 대한 최종 확인은 제출이 끝난 뒤 새로고침을 눌러 내가 제출한 Sitemap의 개수가 늘어났는지를 확인하거나, 해당 목록 맨 밑에 Sitemap(모든 콘텐츠 유형)에서 /sitemap 목록의 처리 상황을 보는 것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상으로 네이버와 구글 웹마스터도구에서 사이트맵 제출하는 방법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다소 횡설수설한 면도 없지 않아 제대로 설명되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애드센스에 사이트를 여러 개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애드센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드센스 잘못된 트래픽에 의한 계정 정지 원인과 해결방법 (0) | 2017.06.12 |
---|---|
애드센스 여러 개의 사이트 추가하는 방법 (0) | 2017.06.11 |
구글 웹마스터도구 등록 방법 (RSS 등록 방법까지) (0) | 2017.06.09 |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등록 방법 (RSS 등록 방법까지) (0) | 2017.06.08 |
구글 계정 탈퇴 방법 (1) | 2017.06.07 |